2025년 1차·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민생지원금 #소비쿠폰 #1차지원금 #2차지원금 #2025지원금 #정부지원금 #소득하위90% #신청방법 #사용기한 #지원금합산
👋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민생지원금”이라는 단어 많이 들리시죠?
특히 1차와 2차 소비쿠폰의 신청 기간과 사용 기한, 그리고 합산 여부에 대해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오늘은 행정안전부 공식 발표 자료와 최신 정보를 근거로, 정확한 일정과 Q&A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대상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2025년 6월 18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모든 국민에게 지급됩니다.
- 성인(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개인별로 신청 및 수령이 원칙입니다.
- 미성년자(2007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주민등록상 세대주가 신청하고 수령합니다. 다만, 주민등록표에 성인 구성원이 없는 '미성년 세대주'는 직접 신청이 가능합니다.
2. 1차 소비쿠폰 정리
- 신청 기간: 2025년 7월 21일(월) ~ 9월 12일(금)
- 사용 기한: 수령일 ~ 2025년 11월 30일(일)
- 지급 금액:
- 일반 국민: 15만 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3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 지역 추가 지원: 비수도권(서울·경기·인천 제외) +3만 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5만 원
👉 정리하면, 1차 지원금은 반드시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남은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3. 2차 소비쿠폰 정리
-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 사용 기한: 수령일 ~ 2025년 11월 30일(일)
- 지급 대상: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하위 90% 국민
- 지급 금액: 1인당 10만 원
👉 2차는 선별 지원이며, 건강보험료 납부액 및 자산 기준을 토대로 상위 10%는 제외됩니다.
4. 가구원 수별 건강보험료 기준 (예상)
정부가 아직 최종 기준을 확정하지 않았지만, 보도된 하위 90% 예상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월 소득 기준(추정) | 직장가입자 건보료 | 지역가입자 건보료 |
---|---|---|---|
1인 가구 | 약 502만 원 이하 | 약 20만 원대 초반 | 약 19만 원대 |
2인 가구 | 약 846만 원 이하 | 약 29만 원대 | 약 27만 원대 |
3인 가구 | 약 1,090만 원 이하 | 약 37만 원대 | 약 35만 원대 |
4인 가구 | 약 1,280만 원 이하 | 약 43만 원대 | 약 41만 원대 |
⚠️ 주의: 위 수치는 예상치이며, 최종 기준은 9월 정부 TF 발표 후 확정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1차 지원금 남은 금액을 2차와 합산해서 쓸 수 있나요?
→ 아니요. 합산 불가입니다.
- 1차와 2차는 각각 별도 신청·별도 지급됩니다.
- 같은 카드로 신청해도 충전 계좌가 따로 구분되며, 합산되지 않습니다.
- 두 지원금 모두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고, 미사용 금액은 환불 불가·자동 소멸됩니다.
Q2. 1차와 2차를 합쳐서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유형 | 1차 지급 | 2차 지급 | 합계 |
---|---|---|---|
일반 국민 | 15만 원 | +10만 원 | 25만 원 (비수도권 28만 원 / 농어촌 30만 원) |
차상위·한부모 | 30만 원 | +10만 원 | 40만 원 (비수도권 43만 원 / 농어촌 45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 40만 원 | +10만 원 | 50만 원 (비수도권 53만 원 / 농어촌 55만 원) |
Q3. 2차 지원금은 자동 지급되나요?
→ 아니요. 반드시 별도 신청을 해야 합니다.
Q4. 어떻게 신청하나요? (온라인·오프라인 신청 방법)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급 수단은 지역사랑상품권(카드·모바일·지류형),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
- 신용·체크카드: 본인 명의의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를 통해 신청.
-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앱을 통해 신청.
- 오프라인 신청
- 신용·체크카드: 카드사 제휴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
- 지역사랑상품권(지류형·일부 카드형) 및 선불카드: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 고령자·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을 위해 지자체에 유선으로 요청하면 방문하여 신청 접수를 도와줍니다.
Q5. 사용처는 어디인가요?
- 사용 지역: 2025년 6월 18일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지자체 내에서 사용 가능.
- 사용 가능 업종: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매장
-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교습소·학원, 약국·의원
- 프랜차이즈 가맹점 (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 사용 불가 업종:
- 대형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백화점, 면세점, 대형 외국계 매장
- 온라인 전자상거래(쇼핑몰, 배달앱 등)
- 유흥·사행업종(유흥주점, 카지노, 복권방 등)
- 환금성 업종(상품권 판매점, 귀금속 판매점 등)
- 조세·공공요금, 교통·통신요금 자동이체 등
6. 마무리 정리
✔️ 1차 신청: 7월 21일 ~ 9월 12일
✔️ 2차 신청: 9월 22일 ~ 10월 31일
✔️ 사용 기한: 1차·2차 모두 2025년 11월 30일까지
✔️ 합산 불가, 각각 신청·사용해야 함
✔️ 소득 하위 90% 기준은 9월 중 최종 확정 예정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더 궁금한 점은 전담 콜센터(1670-2525) 또는 국민콜(11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